작성자 | 김○○ |
---|---|
학습출처 | [2025 교육과정A 3번] 2025 6-8월 영역별 문제풀이 |
적중내용 및 후기 |
A-3-1) - 적중문제집(상) p.229 기본형 12-(1) / p.237 기출변형 3 :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을 구분하는 문제에서 두 관찰법의 차이를 정리할 수 있었고, 기출 변형 문제를 통해 시간표집법의 개념을 다시 짚어주셔서, 도움이되었습니다. - 4주차 수업자료 '유아 평가 핵심정리' : 사건 표집법, 시간 표집법의 주요 특징을 밑줄로 표시한 자료를 제공해주셔서 공부하며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. A-3-2) ① - 적중문제집(상) p.229 기본형 13 : 관찰행동 목록 작성 시 유의사항 중 '중복하여 쓰지 않는다.'는 것을 정리할 수 있어서 유사한 문제를 풀 수 있었습니다. - 문제풀이반 4주차 수업자료 '연습문제' 1-(4) : 조작적 정의와 범주화에 대한 개념이 출제 예상문제로 짚어주셔서 유심히 공부했는데 범주화에 대한 개념에서 '특정 해동을 하위 행동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이 때 행동의 하위 범주 간 서로 중복이 없어야 한다.'라는 문장이 지문에 있어서 '중복없이 작성'하는 것의 중요함을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. A-3-2) ② - 적중문제집(상) p.240 실전형 1-(3) - 4주차 수업자료 '유아 평가 핵심정리' : 제공해주신 요약 자료에서도 약호식 기록법의 장점 중 반복 관찰 후 비교하면 행동의 변화를 알 수 있다는 부분을 강조해주셔서 기억할 수 있었습니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