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-2) 물활론적 사고 단계
수업시간에 명확하게 설명해주셨고 중요하다고 하셔서 중요 표시 해두었던 내용이라 잊지않고 잘 작성할 수 있었고, 모든 수업시간에서 강조해주셨던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며 문제 읽으면서 지문에 나온 내용에서 힌트를 최대한 찾으려고 노력했습니다. (손으로 로봇의 팔을 움직이며) (어항 속에서 헤엄치는 거북이를 가리키며)
[2025 교육과정B 2번]
수강생 배○○
수업때 가치명료화단계 문제가 나올 것이라 언급해주셔서 마지막까지 빼놓지 않고 암기했던 부분이었어요! 박쌤 믿고 소홀하게 보지 않았던게 정말 큰 도움이 됐습니다!! B형은 정말 박쌤 적중률에 계속 감탄하며 문제 풀었어요. 덕분에 문제 풀때도 긴장도 풀리고 '아는문제다!' 싶어서 자신있게 적을 수 있었습니다!
[2025 교육과정A 2번]
수강생 정○○
모의고사에서 나왔던 존슨의 쌓기놀이 발달단계에 표상이 활발한 단계를 나타내는 지문이 거의 똑같은 맥락으로 시험에 나왔더라구요!! 정말 놀랐어요. 덕분에 익숙한 느낌으로 풀 수 있었습니다.
[2025 교육과정B 2번]
수강생 최○○
하권 P246 실전형 7번 혐오피라미드,
P252 12번 편견영역
문제풀이 강의에서 설명해주셨고
새로운 내용이라 기억하는데,
문화 다양성 요소 3가지를 쓰라고 하니
시간에도 쫓기고 반편견에만 꽂혀서..교수님은 잘 알려주셨는데..
3가지는 다 못 썼지만, 부분점수라도 받을수 있기를..
[2025 교육과정A 3번]
수강생 최○○
모의고사 1회 A 4. 2) 행동목록법 특징 적절하지 않은 내용 골라 이유쓰기.
모의고사 3회 B 2. 1) 3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관찰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.
반복하여 관찰하면 행동의 변화를 파악 할 수 있다.
문제에서 행동목록법을 활용하면 자조행동의 변화를 알 수도 있고 내용에서 밑줄 친 부분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을 쓰시오.를 읽고 바로 작성할 수 있었습니다.
이론 수업에서도 설명을 해주셨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잘 해주셔서 어렵지 않았습니다.
[2025 교육과정B 3번]
수강생 공○○
영역별 모의고사 3회차 a형3번의 1번에서 존슨의 블록 쌓기에 관련된 문제가
단계까지 똑같은 문제가 나와 쉽게 풀었습니다! 모의고사때는 틀렷는데 시험때는 쉽게 풀수 있어서 교수님께 감사한 마음입니다!! ㅎㅎ
[2025 교육과정B 5번]
수강생 김○○
1) 양감 부분의 특성을 교재에서 다루었기 때문에 시험 당시 기억해 낼 수 있었습니다.
2) 찰흙이 작년에 나와서 또 나올까 싶어 중요하게 보지 않았는데 모의고사에서 한 번 더 나와 한 번 더 보고 갈 수 있었습니다.
[2025 교육과정B 5번]
수강생 김○○
1) ① 적중문제집(하) p.333 실전형 14-(4)
양감에 대한 문제였는데 이 문제를 복습하면서 양감에 대한 발문을 정리해두었습니다. 그런데 시험에 양감을 탐색하도록 하는 발문이 나와서 놀랐고 반가운 마음으로 풀었습니다.
1) ② 적중문제집(하) p.291 기본형 24-(2)
펠드만 문제 문풀반에서 상호작용이랑 같이 연결지으면서 설명해주셨었는데, 시험에서도 상호작용과 연결된 문제가 나왔네요! 펠드만은 기출에서도 나왔던 내용이라 강조해주셨는데 이번에도 적중했다고 생각합니다!
2) 적중문제집(하) p.287 기본형 22-(2)
문풀 강의 때 점토의 특성에 대해 서술해 볼 수 있는 문제였어요. 해당 문제를 통해 직강 선생님들의 다양한 생각도 알 수 있었고 교수님께서 좋은 생각들을 공유, 정리해주셨던 점이 기억에 많이 남았습니다. 사실 이 문제로 점토의 특성은 거의 정리해두었어요! 그래서 특성 별 장점을 떠올리며 시험 문제에 적용해볼 수 있었습니다.
[2025 교육과정B 1번]
수강생 배○○
실전 모의고사에서 용역과 생산, 재화에 대한 경제교육 개념요소가 나왔었어요. 헷갈렸던 개념들을 모의고사 때 잡아주셔서 실전에는 절대 틀리지 말아야지! 다짐하게 됐었어요. 그리고 정말로 시험에서 같은 개념이 나왔고, 당당하게 정답을 적고 나올 수 있었습니다.
[2025 교육과정A 1번]
수강생 최○○
유아가 경험한 교육과정의 유형.
지문에서 교사저널 속에 '내가 의도했던 것이 .....함께 정리하기를 경험하는 것' 키워드라고 생각해서 의도성에서 표면적이냐? 잠재적이냐?로 쓰는 것이라 생각해서 작성하였습니다.
강의에서 각 유형별 특징을 잘 설명해주셔서 두 학자 중에 뭘 쓸지 고민하다가 블룸이 먼저 생각났으니 먼저 생각난게 답이다! 생각해서 작성했습니다. 학교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이라고 썼서야했나? 했지만 모의고사보고 다시 봤던 표면적 잠재적이 너무 선명하게 떠올라서 내 답이 맞다! 하고 적었습니다.
[2025 교육과정A 1번]
수강생 최○○
모의고사 1회 1번, 5회 1번 문제에서 교육과정유형을 두 번 다뤄주셔서 마지막 정리하면서 더 유의하여 보았고,
모든 학자 유형에 맞춰서 암기해두었는데, 학자 이름이 안나왔지만 모의고사 공격성문제처럼 어떤 학자에 맞춰서 쓰는게 적합한지 생각하여 작성하였습니다.
[2025 교육과정A 1번]
수강생 박○○
피아제 전조작기 유아 특성 중
물활론적 사고의 단계를 암기하라고 강조해주셨는데,
이게 딱 나올 줄은 몰랐어요! 이것도 맞춘 것 같아요.
감사합니다!
[2025 교육과정A 8번]
수강생 오○○
각론 강의부터 문풀 강의까지 패러디 동화를 강조해주셨고, 유아가 원작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유의점까지 정확히 언급해주셨습니다!
또한 지속적으로 최근 음성상징어 문제가 안 나왔다는 부분도 언급해 주셨는데 8-3번에서 의태어를 활용한 문제가 나와서 반가웠습니다:)
[2025 교육과정B 7번]
수강생 박○○
박성희 교수님께서 출제하신 모의고사에서 수의 맥락 뿐만 아니라 수의 의미에 대한 내용까지 함께 다루어주셔서 쉽게 답안을 작성할 수 있었습니다!!
[2025 교육과정A 1번]
수강생 유○○
소문항 2번 피아제의 물활론적 사고는 늘 말씀하셨고, 소문항 3번은 유아교육과정 수업시간에 강조, 문제풀이 책 207p 2-1번의 문항과 유사합니다.
[2025 교육과정A 8번]
수강생 최○○
하권 p135 기본형문제 32번 사이프 반응 유형 이름과 특징 연결해서 공부했던 기억이 나고,
이론 강의에서도 워낙 설명을 잘해주셔서 특징에 따라 이름만 잘 쓰면 되는 문제인데...시간이 참..왜 연행적반응이 기억이 안났을까요..ㅠ
[2025 교육과정B 5번]
수강생 이○○
교육과정 B 5. -2) 문제가, 모의고사 6회 B 6. -1)과 흡사하여 적중했다고 생각됩니다. 재료가 가진 '특성'에 대해 묻는점이 일치하고, 해설 참고자료에서도 해당 재료의 '특성'에 대해 정리해 볼 수 있었습니다.
[2025 교육과정A 7번]
수강생 왕○○
이번에 5회? 6회? 모고강의에서 교수님이 문해력에 대한 내용이 무조건 나올거라고 하셨어요. 문해력에 대한 이슈가 있었기 때문에 셜즈비나 클레이 등 읽기, 쓰기 발달 단계와 원리는 무조건 1문제는 나올거라고 하셨는데, 역시나 셜즈비와 클레이 이론이 나왔습니다....
[2025 교육과정B 6번]
수강생 배○○
세도막 형식, 자칫 소홀하게 보고 넘어갈 수 있었던 부분이었는데!! 영역별 문제풀이에서 한번 짚고 넘어가니 기억에 남더라구요! 빈 곳 없이 꼼꼼히 챙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! 박쌤 커리 믿고 따라간게 최고로 잘한 일인 것 같아요!! 감사합니다!
[2025 교직논술]
수강생 김○○
성숙주의와 구성주의의 학습 기제에 대해서도 자세히 반복해서 여러 강좌에서 설명해 주셨고 그에 따른 교수 학습 상황에서의 교사 역할에 대해서도 항상 강조해 주셔서 도움이 많이 됐어요!